맨위로가기

이형석 (1909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형석은 일제강점기 평안북도 선천군 출신으로, 일본 육군사관학교를 졸업하고 일본군에서 복무했다. 해방 후 대한민국 육군에 입대하여 한국 전쟁에 참전했으며, 제5사단장, 제8사단장, 제27사단장을 역임했다. 1954년 소장으로 진급 후 연합참모본부 제1부장을 지냈고, 이후 국방부 정훈국장, 제3관구 사령관 등을 역임했다. 1959년 예비역으로 편입된 후에는 대한석탄공사 고문, 재향군인회 부회장 등을 지냈으며, 한국 전쟁 관련 저서를 집필했다. 1991년 당뇨병으로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호국군사관학교 동문 - 김석원 (군인)
    일제강점기 일본군 장교로 만주사변과 중일전쟁에 참전하고 한국 전쟁 당시 국군 사단장으로 활약했지만, 친일 행적으로 논란이 되어 동상이 철거되고 친일 관련 명단에 등재되었으며 국회의원을 지낸 인물이다.
  • 육군호국사관학교 동문 - 정웅
    대한민국의 군인 출신 정치인인 정웅은 육군 소장 예편 후 5·18 광주 민주화 운동 당시 유혈 진압을 자제하고 제13대 국회의원을 지냈다.
  • 국방부 호국군행정학교 동문 - 강영훈 (1927년)
    강영훈은 한국 전쟁에 참전한 군인 출신으로 육군 중령 예편 후 민주당 소속 제4대, 제5대 국회의원을 지낸 대한민국의 정치인이다.
이형석 (1909년)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형석 (1967년)
이형석 (1967년)
본명이형석
한자 표기李炯錫
로마자 표기I Hyeong-seok
출생1909년
사망1991년
사망 원인당뇨병
출생지대한제국 평안북도 선천
사망지대한민국 서울
본관수안
묘소알 수 없음
군 경력
최종 계급소좌(일본육군)
최종 계급소장(한국육군)
참전한국 전쟁
주요 보직
국방부정훈국 국장
대한민국 육군 제3관구사령부사령관
국방부전사편찬위원회 위원장
정치 경력
정당무소속
과거 소속 정당민주당 당무위원(1963년)
한국독립당 당무위원(1966년)
한국국민당 전임고문(1981년)
학력 및 강단 경력
학교고려대학교 겸임교수(1966년)
학교연세대학교 겸임교수(1967년)
학교국방대학교 전임교수(1970년)
학교중앙대학교 겸임교수(1970년)
학교한양대학교 겸임교수(1971년)
복무 기간
일본 제국 육군1933년 ~ 1945년
대한민국 육군1948년 12월 ~ 1959년 4월

2. 생애

1909년 일제강점기 평안북도 선천군에서 태어나 신의주고등보통학교를 졸업했다. 일본 육군사관학교를 졸업(45기)하고 보병 소위로 임관하였다.[1]

1935년 보병 중위를 거쳐, 1938년 국경 수비대 제7중대장, 보병 대위로 임관하였다. 1942년 혼성 제8여단 참모, 소좌를 거쳐 종전 당시에는 남방군 제2야전철도사령부 부속으로 싱가포르에 있었다.[5] 해방 후 대만을 경유하여 인천으로 귀국했다.[6]

귀국 후 경찰을 거쳐 1948년 대한민국 육군에 입대하여 대령으로 임관하였다.[15] 1949년 호국군 국장, 옹진 지구 전투 사령관, 제7사단 참모장 등을 역임하였다.

1950년 경상남도 지구 청년방위사령관, 육군 보병학교 교무관을 거쳐, 한국 전쟁 발발 후 제5사단장으로 전라남도 호남 방위에 참가하였다. 같은 해 육군종합학교 전술과장을 거쳐 충청남도 지구 병사구 사령관을 역임하였다.[7]

1951년 육군본부 전사감, 1952년 제2군단 참모장, 제8사단장을 거쳐 준장으로 승진하였다.[9] 1953년 제27사단장(초대)을 역임하였다.[10]

1954년 연합참모본부 제1부장 재임 중 소장으로 승진하였고, 1956년 육군대학 졸업 후 국방부 정훈국장을 지냈다.[11]

1956년 김창룡 암살 사건 조사위원을 맡았으며, 1958년 제3관구 사령관을 역임하였다.

저탄장 비리 혐의로 사임을 권고받아[12] 1959년 예비역으로 편입되었다.[13] 이후 대한석탄공사 고문, 재향군인회 부회장, 인천중공업 부사장, 보이스카우트 부총재, 국방부 전사편찬위원회 위원장을 역임하였다. 1991년 당뇨병으로 사망했다.

2. 1. 젊은 시절

1909년 평안북도 선천군에서 출생하였고, 황해도 수안군충청북도 단양군에서 유년기를 보냈다. 신의주고등보통학교를 졸업하였으며, 재학 중 4학년 때 본 영화에서 미국 웨스트포인트 사관생도들의 생활에 매력을 느껴 일본 육군사관학교를 지망하게 되었다. 이후 평양 주재 제77연대에서 치러진 일본 육사 선발에 합격했는데, 이는 일반 공모에 의한 최초의 육사 합격자였다.[14]

1928년 일본 육군사관학교에 입학하여 1933년 보병과를 졸업(제45기)하고, 같은 해 10월 20일 보병 소위로 임관하여 보병 제41연대에 배속되었다.[3] 1935년 10월 10일 보병 중위로 임관[4]한 후, 같은 해 독립보병 제8대대에 배속되었다. 1938년 국경 수비대 제7중대장, 보병 대위를 거쳐 1942년 혼성 제8여단 참모, 소좌로 임관하였다. 종전 당시에는 남방군 제2야전철도사령부에 배속[5]되어 싱가포르에 있었으며, 그곳에서 일본 선원이 운행하던 LST를 타고 대만을 경유하여 인천으로 입항했다.[6] 대만에서는 신문으로 홍사익 중장이 처형된 것을 알게 되었다고 한다.[6]

2. 2. 학력

학교내용
신의주고등보통학교졸업
일본 육군사관학교45기 (1933년)
대한민국 육군사관학교특7기 (1948년)
대한민국 육군호국사관학교특1기 (1949년, 1950년)
대한민국 국방부 보병학교1949년
대한민국 국방부 호국군행정학교1949년
대한민국 국방부 헌병학교1949년
대한민국 육군정훈학교1950년
대한민국 육군헌병학교1950년
대한민국 육군종합학교특1기 (1950년)
대한민국 육군보병학교1950년
대한민국 육군행정학교1951년
대한민국 육군경리학교1951년
대한민국 육군포병학교1951년
대한민국 육군대학1956년
대한민국 국방대학교행정학사 3기 (1958년)
서울대학교 대학원사학과 인문과학 석사 (1962년)


2. 3. 일본군 복무

1929년 일본 육군사관학교에 입학하여 동기생인 이우와 예과 2년을 함께 보냈다. 1933년 보병과를 졸업(제45기)하고, 보병 제1연대에 배속되었다. 1935년 제8독립보병 대대의 보병 중위로 임관하였다. 1938년에는 국경 수비 제7중대장 보병 대위로 임관하였다. 1942년 제8 혼성 여단 참모 소좌로 임관되었고, 1945년 중령으로 임관, 제25군이 주둔한 수마트라 섬의 철도부대에 소속돼 있던 중 해방을 맞았다. 그 후 이형석은 수마트라 섬을 떠나 동포들이 집결한 싱가포르로 이동, 싱가포르에서 동포들과 합류한 뒤 일본 선원들이 운항한 3천t급 LST로 대만을 거쳐 인천항에 입항하여 한국으로 돌아왔다.[6]

2. 4. 대한민국 국군 복무

1948년 12월 대한민국 육군에 입대하여 육군 대령(군번 12312번)으로 임관하였다.[15] 1949년 3월 육군본부 호국군작전교육국 국장(대령), 1949년 4월 육군본부 호국군사령부 참모장(대령)을 역임하였다. 1949년 5월 25일에는 육군 제16연대장(대령)을, 같은 해 10월 27일에는 육군 제7사단 참모장(대령)을 맡았다.

1950년 3월 육군 경남지역 청년지방방위계엄사령부 사령관(대령)을 지냈고, 같은 해 5월 육군보병학교 교무관(대령)으로 활동했다.

한국 전쟁 발발 직후인 1950년 7월 육군 제5사단장(대령)으로서 호남 지방 작전 중 전라남도 방어전에 참가하였다. 같은 해 1950년 9월 육군종합학교 전술과 과장(대령)을 역임했다.

1952년 2월 육군 제2군단 참모장(대령)을 지냈다. 같은 해 4월 초순 육군 제8사단장(대령)에 보임되었고, 보임 11일 만에 준장으로 진급하였다.

1953년 6월 18일, 육군 제27사단장(준장)으로 전임되었다.[15]

1954년 8월 초순, 육군 제27사단장(준장 → 소장) 직위 재임 시절 준장에서 소장으로 진급하였고, 소장 진급 6일 만에 연합참모본부 제1국 국장(육군 소장)으로 전임되었다.

1956년 6월 육군대학 졸업 후 연합참모본부 제1국 국장에서 국방부 정훈국 국장(육군 소장)으로 자리를 옮겼다.

1956년 1월, 김창룡 암살사건 조사위원을 맡았다.

1958년 3월 육군 제3관구사령부 사령관(소장)을 역임하였다.

1959년 4월 육군 소장으로 예편하였다.

2. 5. 예편 이후

예비역 편입 후 이형석은 대한석탄공사 고문, 재향군인회 부회장, 인천중공업 부사장, 대한청년스카우트협회 부회장, 국방부 전쟁사 편찬위원회 위원장을 역임했다.[16]

서울대학교 대학원 사학과에서 취미로 임진왜란 관련 문헌을 발췌하다가 후학 양성 등을 위해 번역하던 중, 한우근 교수의 권유로 당시의 정치, 경제, 사회를 연구하고 1964년부터 집필을 시작했다.[16] 1991년당뇨병으로 사망했다.

2. 6. 사망

1985년에 만성 당뇨병으로 와병하다가 6년 후 1991년에 향년 83세로 별세하였다.[1]

3. 저서

제목발행년도
한국전쟁사 제1권 - 북괴남침과 서전기1977년
한국전쟁사 제2권 - 지역작전기1979년
한국전쟁사 제3권 - 낙동강 방어작전기1970년
한국전쟁사 제4권 - 총반격작전기1971년
한국전쟁사 제5권 - 중공군 침략과 재반격 작전기1972년
한국전쟁사 제6권 - 제한전선의 격동기1973년
한국전쟁사 제7권 - 대진 초기1974년
한국전쟁사 제8권 - 대진 중기1975년
한국전쟁사 제9권 - 대진 말기1976년
한국전쟁사 제10권 - 유엔군 참전편1979년
한국전쟁사 제11권 - 유엔군 참전편1980년


참조

[1] 뉴스 남기고 싶은 이야기들(83) 창군전후(2)-이경석 http://news.joins.co[...] 1971-02-16
[2] 서적 若き将軍の朝鮮戦争 草思社
[3] 문서 陸軍現役将校同相当官実役停年名簿.昭和9年9月1日調 https://dl.ndl.go.jp[...]
[4] 문서 陸軍現役将校同相当官実役停年名簿.昭和11年9月1日調 https://dl.ndl.go.jp[...]
[5] 서적 終戦時帝国陸軍全現役将校職務名鑑 戦誌刊行会
[6] 뉴스 (84)<제6화>창군전후(3)-이경석(제자는 필자) http://news.joins.co[...] 1971-02-17
[7] 서적 朝鮮戦争/韓国編 下巻
[8] 서적 6·25전쟁 50주년기념 한국전쟁사의 새로운 연구 2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9] 뉴스 政府(정부) 人事發令(인사발령) http://www.busan.com[...] 1952-05-02
[10] 서적 군과 나
[11] 뉴스 聯合 參謀本部 第一部長 內定 http://www.busan.com[...] 1954-09-03
[12] 뉴스 肅軍報告書 https://www.busan.co[...] 1959-04-23
[13] 뉴스 豫備役에 編入 http://www.busan.com[...] 1959-04-11
[14] 서적 젊은장군의 조선전쟁
[15] 서적 군과 나
[16] 뉴스 임진왜란사의 이형석씨 http://newslibrary.n[...] 1967-11-0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